BLOG ARTICLE 전쟁 | 1 ARTICLE FOUND

  1. 2011.01.03 돈의 힘(THE ASCENT OF MONEY) (BBC, 2008) 2/6

제 2부 지불 약속(Human Bondage)


채권 : 정부 혹은 은행이나 회사가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차입하기 위해 발행하는 유가증권

정부는 징수한 세금보다 더 많은 돈을 지출할 때가 많은데 그럴 경우 채권을 팔아 그 차액을 메운다.

빌 그로스 : 채권펀드사인 핌코의 회장. 만약 빌 그로스가 채권에 대한 믿음을 잃어버린다면 세계 경제는 그야말로 원자폭탄을 맞을 것이라고 한다. 前블랙잭 플레이어.

채권시장은 전쟁에서 비롯됐다. 이탈리아 토스카나 지방의 도시들은 중세 대부분을 전쟁속에서 보냈다. 채권시장을 통해 전쟁자금을 대는 것은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에 생겨났다. 계속되는 전쟁으로 막대한 자금이 필요했다. 정부는 시민들에게서 세금을 걷고 의무적으로 그들로부터 돈을 빌려서 충당했다. 이런 강제성을 수반한 대부의 대가로 시민들은 이자를 받았다. 당시 채권은 유동자산으로 급전이 필요하면 팔 수 있었다. 채권시장에서 거래가 허용되었던 것이다.

콘도티에리 : 르네상스 시절 이탈리아에서 활동하던 용병징집인

이탈리아 도시국가들은 의미없는 전쟁이 계속되자 부채가 늘었고 채권을 더 많이 발행했다. 하지만 그럴수록 채권의 가치는 떨어졌다.

위험을 감수할 용기만 있다면 원금을 회수할 수도 있다. 또한 금융시장 전체의 이자율을 결정하는 것 역시 채권이다.

로스차일드 : 워털루 전투의 승패에 막강한 영향력을 미쳤다. 1810년부터 1836년사이 마이어 암셀 로스차일드의 다섯 아들들은 국제 금융계의 거물로 급부상한다. 19세기 채권시장의 진정한 황제, 네이선은 셋째 아들로 자신을 전쟁과 평화의 중재자라고 하였다.

주덴도이치 : 히브리 문자를 사용한 독일어로 우편물의 내용을 엿보는 걸 막기 위해 사용했다.

워털루 전투는 영국과 프랑스간의 갈등이 절정에 이른 전투로 두 나라 금융제도의 우열을 가르는 계기였다. 전쟁자금을 약탈에 의존한 프랑스와 채권에 의존했던 영국의 금융 싸움이었다. 영국 정부는 전쟁을 앞두고 엄청난 양의 채권을 발행한다. 로스차일드 가문이 성공한 이유는 워털루 전투의 승패가 채권가격에 미칠 영향을 정확히 예측했기 때문이었다.

나치독일이 상영을 허락한 로스차일드 가문의 부당이득에 관한 영화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네이선은 프랑스 장군을 매수해 영국군의 우세를 확인한다. 그리고 나서 영국군이 열세라고 런던에 헛소문을 퍼뜨린다. 놀란 영국인들이 정부 채권을 헐값에 처분하자 네이선은 서둘러서 채권을 사들인다.

하지만 1815년 상황이 달라졌다. 영국 정부는 채권판매로 엄청난 현금을 보유하게 된다. 전장으로 향하던 웰링턴 공작은 채권보다는 언제 어디서나 지불가능한 통화가 필요했다. 네이선은 채권시장에서 빌린 돈을 금으로 바꿔 웰링턴 공작에게 조달한다. 1814년 1월 11일 영국의 재무장관은 영국군 총 사령관에게 편지를 보내 네이선 로스차일드를 영국 정부의 대리인으로 임명한다. 네이선은 유럽대륙에서 금과 은을 최대한 많이 모아 진격중인 웰링턴 공작에게 전달해야 했다.

네이선은 유럽전역에 뻗어 있던 가족중심의 금융 네트워크를 이용해 훌륭하게 완수한다. 예를 들어 파리의 금값이 런던보다 비쌀때는 파리에 있는 막내가 금을 판다. 그 다음에 런던에 있는 네이선이 금을 사는 방식이다.

나폴레옹이 유배지를 탈출해 파리로 돌아오자 로스차일드 가문은 금괴와 은괴 동전들을 사모은다. 나폴레옹이 주도한 이전의 전쟁들처럼 장기전이 될거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금을 찾을 것이고 당연히 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예측한 것이다. 하지만 전투는 하루만에 결정됐고 영국군의 승리로 로스차일드 가문은 무용지물이 된 금을 싼 값에 산 꼴이 되어 버렸다. 전쟁이 끝나면 군대는 해산될 것이고 군인들에게 금을 지급할 필요가 없어져 치솟았던 금값이 폭락할 것이 뻔했다.

네이선은 금을 이용해 영국 채권을 대량으로 사들인다. 워털루 전투의 승리로 영국 채권의 가격이 오를 것이라는데 기대를 걸었다. 네이선이 채권을 사들이자 채권의 가격이 올라가고 1년이나 계속해서 사들인다. 40%까지 가격이 오르자 네이선은 채권을 되판다. 그 결과 엄청난 시세차익을 남긴다. 채권을 사고 팔아 이윤을 남길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당시 로스차일드 가문은 금융권에서 사람들의 두려움을 받았다. 로스차일드 가문이 유대인이라는 사실이 반(反)유대주의의 편견을 자극했다. 전쟁을 일으키기도 하고 막기도 하는 로스차일드 가문의 양면성 때문에 사람들은 그들을 증오한다. 돈을 벌기 위해 로스차일드 가문은 전쟁이 필요했다.

미국의 남북전쟁 역시 배후에 채권시장이 있었다.
남부는 시민들에게 채권을 팔아 전쟁비용을 충당하려고 했지만 남부의 자본은 한정돼 있었고 이를 극복하고자 로스차일드 가문에 손을 내민다. 하지만 로스차일드 가문은 이미 가치를 상실한 남부의 채권을 사지 않았다. 남부의 뉴올리언즈는 남부의 주요 수출품인 목화의 판로였다. 남부는 목화를 채권지급 담보물로 내놓아 이자를 지급하지 못할 경우 목화로 대신하겠다며 투자자들을 안심시킨다.

목화담보 채권은 목화의 공급을 제한할 경우 목화와 채권의 가격이 동반 상승하였다. 목화의 중요성을 안 남부는 영국 리버풀로 들어가는 모든 목화를 회수한다. 영국을 자신들의 편으로 만들려는 전략이었다. 목화값은 치솟았고 목화담보 채권도 가격이 올랐다. 반면 영국의 방직공장은 가동을 멈추게 되고 목화기근으로 노동자는 일자리를 잃는다. 영국 경제는 침체에 빠진다.

1862년 4월 28일 남부의 뉴올리언즈가 북부의 손에 넘어가면서 남북전쟁은 전환기를 맞이한다. 목화담보 채권은 값이 계속 상승했는데 남부가 채권시장을 마음대로 조정하려면 투자자들이 채권의 이자를 지급받지 못할 경우 남부가 나서서 목화의 소유권을 보장해주는 전제조건이 필요했다. 하지만 목화 판로를 잃은 남부는 그렇게 할 수 없었다.

1863년 영국의 방직공장들은 중국과 이집트, 인도 지역에서 새로운 목화 공급원을 찾았다. 그러자 목화담보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와 남부경제가 동시에 붕괴된다. 남부의 국내 채권시장이 몰락하자 당장의 전쟁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지폐를 발행한다. 전쟁 막바지 북부의 그린벡이 장당 50센트였다면 남부의 그레이벡은 장당 1센트에 불과했다. 남부는 극심한 인플레이션에 시달려 물건값은 기존보다 90배 치솟는다. 남부는 동서로 분열되고 전쟁에서 패한다. 남부 패전의 진짜 이유는 재정 문제였다.

채권시장의 황제 빌 그로스도 채권의 고정이율 가치를 떨어뜨리는 인플레이션을 두려워 한다. 인플레이션 초기에 채권 가격은 하락한다.

은의 땅이라는 뜻의 아르헨티나는 미국과의 국민소득 차이가 18% 에 불과하던 시절도 있었다. 자원이 풍부한 나라도 금융위기가 반복되면 망할 수 있다.

금융파국은 몇 가지 단계를 거친다.
먼저 징수한 세금에 비해 정부 지출이 과다한 경우인데 전쟁이 원인이다. 아르헨티나는 1970년대 내전과 1982년 포클랜드 제도를 둘러싼 영국과의 전쟁이 있었다. 1989년 2월 한달만에 물가가 10% 상승한다. 정부는 은행을 폐쇄하고 환율폭락을 막기 위해 노력하지만 한달 만에 달러에 비해 140% 하락한다. 정부가 공공부문의 적자를 해소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세계은행에서 대출을 동결한다. 아르헨티나는 공채를 팔아 재정적자를 메우려 했지만 투자자들은 곧 휴지조각으로 변할 채권을 살 의향이 전혀 없었다. 중앙은행의 외환 보유 잔고가 바닥난다는 소문이 돌자 국공채 가격이 폭락했다.

외채도 빌릴 수 없고, 누구도 채권을 사려하지 않자 아르헨티나 정부는 중앙은행을 통해 화폐를 더 많이 발행하도록 한다. 돈의 가치는 점점 더 하락했다. 물가가 1년만에 12,000% 상승했다.

존 메이나드 케인즈 : 영국의 경제학자로 <케인즈 경제학> 이론을 창시했다.

케인즈는 채권소유자들의 안락사를 예언했다. 인플레이션이 로스차일드 가문과 같은 금융재벌의 부를 잠식할 거라 주장했다. 하지만 1970년에는 그 말이 사실인듯 보였으나 채권 시장은 부활했다. 채권 투자자들의 수가 증가하여 부활이 가능했다.

600년전 채권이 생겨난 이탈리아는 노령화 속도가 유럽에서 가장 빨랐다. 노령화 사회에서는 채권과 같이 수익이 고정된 증권이 거래된다.

인플레이션이 연금과 예금의 실제 가치를 떨어뜨릴 것이라는 걱정이 크다. 인플레이션에 관대했던 중앙은행은 채권시장에 그 해결책을 내놓아야 한다. 채권을 더 팔아 국고 재원을 확보할 생각이라면 정부는 금융위기로 파산한 은행을 구제할 때 신중해야 한다.



2011/01/03 - [감상/다큐] - 돈의 힘(THE ASCENT OF MONEY) (BBC, 2008) 1/6

AND